티스토리 뷰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3163
프로그래머스
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
programmers.co.kr
풀이 코드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57
58
59
60
61
62
63
64
65
66
67
68
69
70
71
72
73
74
75
76
77
78
79
80
|
import Foundation
func solution(_ begin:String, _ target:String, _ words:[String]) -> Int {
var queue = Queue<(String,[String])>()
var result = 0
words.forEach {
if isCousin($0, begin) {
if $0 == target {
result = 1
}
var array = words
var index = array.firstIndex(of: $0)!
array.remove(at: index)
queue.enqueue(($0,array))
}
}
repeat {
let temp = queue.dequeue()!
temp.1.forEach {
if isCousin($0, temp.0) {
if $0 == target {
result = (words.count - temp.1.count + 1)
} else {
var array = temp.1
var index = array.firstIndex(of: $0)!
array.remove(at: index)
queue.enqueue(($0,array))
}
}
}
} while !queue.isEmpty && result == 0
return result
}
func isCousin(_ a: String, _ b: String) -> Bool {
var k = 0
var stringA = a.map { $0 }
var stringB = b.map { $0 }
stringA.enumerated().forEach {
if $1 != stringB[$0] {
k += 1
}
}
if k == 1 {
return true
} else {
return false
}
}
struct Queue<T> {
private var queue: [T] = []
public var count: Int {
return queue.count
}
public var isEmpty: Bool {
return queue.isEmpty
}
public mutating func enqueue(_ element: T) {
queue.append(element)
}
public mutating func dequeue() -> T? {
return isEmpty ? nil : queue.removeFirst()
}
}
|
cs |
풀이 과정
최단거리 문제가 떠올라 BFS풀이를 떠올렸다.
<인접한 노드(변환될 수 있는 문자)인지를 판단하는 isCousin 함수를 통해 변환 가능 여부를 체크하고 가능하면 해당 노드로 방문한다>가 핵심 아이디어였다.
이때 방문하기로 한 노드가 만약 target과 같다면 정답이 된다.
repeat의 매 반복마다 같은 레벨의 모든 요소들을 탐색하도록 구현하였다.
덕분에 가장 먼저 target에 도달한 경우의 level이 바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최소 단계값이 된다.
배운 점
BFS 알고리즘에선 탐색에 들어가기 전에 가장 처음 탐색을 진행할 요소들을 큐에 집어넣는 작업(7~18번 줄) 을 진행하곤 한다.
이 문제에서도 마찬가지로 진행하였는데 문제의 testcase에 첫 탐색을 위한 요소들 중 바로 정답이 되는 요소가 섞여있는 testcase가
있어 디버깅을 하는데 오래걸렸다. ( TestCase1. "hit", "hot", ["hit", "hot", "lot"] = 1 )
해당 작업을 진행할 때도 정답이 되는 경우를 걸러내는 작업이 필요하다. (9~11번 줄)
'알고리즘 > DFS | BF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여행경로 문제 (Swift 풀이) (0) | 2023.01.01 |
---|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이분탐색
- Swift
- 순환참조
- 전처리기
- 알고리즘
- 클린 코드 정리
- 여행경로
- BFS
- ios simulator
- 메모리 순환참조
- clean code
- SwiftUI
- clean code 정리
- CLANG
- ios
- 면접질문
- 의존관계역전법칙
- 클린 코드 줄거리
- 주입
- 생명 주기
- XcodeBuildSystem
- 학교 과제
- 의존성
- 단어변환
- XCFramework
- 링커
- swiftc
- 클린 코드
- dfs
- 프로그래머스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